교육안내 > 기획과정

기획과정

교육 대상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일반 국민

교육 시간

6시간(1일) /11시간(2일)

교육 방식

대면(국립국어원 집합), 비대면(실시간 온라인) 병행
* 대면 교육 장소: 국립국어원(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방화동 827)(지하철 5호선 방화역 2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 정도 소요)
* 교육생을 위한 별도의 주차 공간이 없습니다. 방문 시 대중교통이나 인근 공영 주차장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육비

무료

신청 안내

□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교육생 모집 안내에 따라 기관·단체에서 공문으로 신청
□ 일반인: 국어문화학교 누리집(https://edu.korean.go.kr)에서 회원 가입 후 개별 신청
* 신청 일정은 추후 공지('알림 마당>국어문화학교 소식' 참고)

이수 조건

전체 교육 시간의 100% 출석 시 수료 가능.

과정 문의

02-2669-9729

교과목 소개(과정별 모집 진행)

과정 구분 교육 일정(횟수) 과목명 교육 내용 교육 시간
공공언어 과정
(비대면)
3, 4, 6, 10월
(4회, 1일 과정)
공공언어 이해하기 공공언어의 개념과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음. 100분
알기 쉽게 말 다듬기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행정용어, 이해하기 어려운 정책명, 공무원식 표현 및 번역 투 표현 등을 직접 다듬어 봄으로써,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를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음. 100분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실습 공문서 작성 기준 및 유형별 공문서 쓰기를 익혀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음. 100분
보고서 작성 실습 과정
(비대면)
3, 6, 11월
(3회, 1일 과정)
공공언어 실습 문서 작성 기준 및 유형별 공문서 쓰기, 보도자료 작성 방법을 익혀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음. 300분
어문 규범 과정
(비대면)
3, 5, 9, 12월
(4회, 1일 과정)
사전과 국어 정보 활용 표준국어대사전 및 우리말샘 활용법, 국립국어원 누리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알고 국어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음. 50분
표준어와 표준 발음 표준어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고 표준어와 비표준어를 구분하며 표준 발음을 구사할 수 있음. 50분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와 띄어쓰기의 기본 원리를 알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혼동하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글 맞춤법을 지키려는 태도를 기름. 100분
로마자와 외래어 로마자 표기법과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및 차이점을 알고, 로마자와 외래어를 올바르게 표기할 수 있음. 100분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과정
(대면)
5, 7, 11월
(3회, 2일 과정)
글쓰기의 즐거움 직접 한 편의 글을 써 보면서 일상 글쓰기의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음. 200분
독서의 기쁨 업무적인 글이 아닌, 수필, 소설 등의 문학 작품 및 일반 교양 서적을 직접 읽어 보면서 글을 읽는 행위가 주는 기쁨을 느낄 수 있음. 150분
말을 잘한다는 것 "말을 잘한다는 것" 저자, TBS 전 아나운서 정연주 직강. 말하기의 형식적‧내용적 완성도를 높이는 방법을 익히고, 말을 통한 성찰의 기회를 마련함. 150분
실감영상 관람 훈민정음 창제 원리, 한글의 발전 과정 등을 실감 영상으로 제작 상영(5개 콘텐츠) 50분
* 교육 일정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