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대상 |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일반 국민 |
교육 시간 |
6시간(1일) /11시간(2일) |
교육 방식 |
대면(국립국어원 집합), 비대면(실시간 온라인) 병행
* 대면 교육 장소: 국립국어원(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54(방화동 827)(지하철 5호선 방화역 2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 정도 소요) * 교육생을 위한 별도의 주차 공간이 없습니다. 방문 시 대중교통이나 인근 공영 주차장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교육비 |
무료 |
신청 안내 |
□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교육생 모집 안내에 따라 기관·단체에서 공문으로 신청
□ 일반인: 국어문화학교 누리집(https://edu.korean.go.kr)에서 회원 가입 후 개별 신청 * 신청 일정은 추후 공지('알림 마당>국어문화학교 소식' 참고) |
이수 조건 |
전체 교육 시간의 100% 출석 시 수료 가능.
|
과정 문의 |
02-2669-9729 |
과정 구분 | 교육 일정(횟수) | 과목명 | 교육 내용 | 교육 시간 |
---|---|---|---|---|
공공언어 과정 (비대면) |
3, 4, 6, 10월 (4회, 1일 과정) |
공공언어 이해하기 | 공공언어의 개념과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음. | 100분 |
알기 쉽게 말 다듬기 |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행정용어, 이해하기 어려운 정책명, 공무원식 표현 및 번역 투 표현 등을 직접 다듬어 봄으로써,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를 실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음. | 100분 | ||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실습 | 공문서 작성 기준 및 유형별 공문서 쓰기를 익혀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음. | 100분 | ||
보고서 작성 실습 과정 (비대면) |
3, 6, 11월 (3회, 1일 과정) |
공공언어 실습 | 문서 작성 기준 및 유형별 공문서 쓰기, 보도자료 작성 방법을 익혀 업무에 적용할 수 있음. | 300분 |
어문 규범 과정 (비대면) |
3, 5, 9, 12월 (4회, 1일 과정) |
사전과 국어 정보 활용 | 표준국어대사전 및 우리말샘 활용법, 국립국어원 누리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알고 국어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음. | 50분 |
표준어와 표준 발음 | 표준어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고 표준어와 비표준어를 구분하며 표준 발음을 구사할 수 있음. | 50분 | ||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와 띄어쓰기의 기본 원리를 알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혼동하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글 맞춤법을 지키려는 태도를 기름. | 100분 | ||
로마자와 외래어 | 로마자 표기법과 외래어 표기법의 기본 원칙 및 차이점을 알고, 로마자와 외래어를 올바르게 표기할 수 있음. | 100분 | ||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과정 (대면) |
5, 7, 11월 (3회, 2일 과정) |
글쓰기의 즐거움 | 직접 한 편의 글을 써 보면서 일상 글쓰기의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음. | 200분 |
독서의 기쁨 | 업무적인 글이 아닌, 수필, 소설 등의 문학 작품 및 일반 교양 서적을 직접 읽어 보면서 글을 읽는 행위가 주는 기쁨을 느낄 수 있음. | 150분 | ||
말을 잘한다는 것 | "말을 잘한다는 것" 저자, TBS 전 아나운서 정연주 직강. 말하기의 형식적‧내용적 완성도를 높이는 방법을 익히고, 말을 통한 성찰의 기회를 마련함. | 150분 | ||
실감영상 관람 | 훈민정음 창제 원리, 한글의 발전 과정 등을 실감 영상으로 제작 상영(5개 콘텐츠) | 50분 |